박성훈의 블로그
Home
About
  • [kubernetes-event-exporter] 오래된 쿠버네티스 이벤트 조회

    Nov 1, 2022 · Kubernetes AWS  ·
    Share on: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 트러블슈팅을 할 때 쿠버네티스 이벤트(Kubernetes event)가 단서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etcd의 저장 공간 제한 때문에 길어도 며칠 정도밖에 보관되지 않아 시간이 지나면 이벤트를 확인할 수 없어서 원인 파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kubernetes-event-exporter를 활용하면 이벤트를 로그로 남겨 AWS CloudWatch Logs 나 Elasticsearch 같은 로그 처리 시스템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 조회할 수 있다.

    Read More
  • AWS CLI가 포함된 Lambda layer 만들기

    Feb 14, 2022 · AWS IaC DevOps  ·
    Share on:

    Python으로 작성된 Lambda function이 AWS CLI를 실행할 수 있도록 AWS CLI가 포함된 Lambda layer를 만드는 방법을 공유한다. AWS CLI는 다소 특이한 Python 모듈일 뿐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Python 모듈의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다.

    Read More
  • [Kubernetes] Cluster Autocaler의 scale-down 튜닝

    Nov 24, 2021 · Kubernetes DevOps  ·
    Share on:
    [Kubernetes] Cluster Autocaler의 scale-down 튜닝

    Cluster Autoscaler(CA)는 클러스터의 노드 개수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새로 생성된 pod이 실행될 노드가 없어 Pending 상태라면 노드를 생성하고, 반대로 필요한 리소스에 비해 노드 수가 불필요하게 많다면 한가한 노드를 없애서 리소스 집적도를 높이는 scale-down을 한다.

    CA가 특정 노드를 없애려면 몇가지 제약 조건에 해당하지 않아야 하는데, 이런 제약 조건 때문에 scale-down 효율이 떨어지면 불필요한 비용을 지출하게 될 수 있다.

    Read More
  • 로컬에서 개발 중인 Ansible role 테스트하기

    Nov 16, 2021 · IaC DevOps  ·
    Share on:

    개발 중인 Ansible role을 편리하게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을 공유한다. Ansible이 제시하는 정석대로 role을 다루는 경우에 적합한 방법이라 그 정석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Read More
  • 오해하기 쉬운 EKS 클러스터의 subnet 설정

    Oct 17, 2020 · Kubernetes EKS AWS  ·
    Share on:
    오해하기 쉬운 EKS 클러스터의 subnet 설정

    EKS 클러스터를 생성할 때 subnet 설정의 의미를 오해하기 쉽다.

    이 설정은 EKS master가 worker node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할 subnet을 지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worker node가 사용하는 모든 subnet을 지정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하면 나중에 worker node들이 사용할 subnet을 추가하기 위해 EKS 클러스터(master)를 재생성해야 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

    Read More
  • Kubernetes에서 NFS 사용하기

    Oct 11, 2020 · Kubernetes EKS AWS  ·
    Share on:
    Kubernetes에서 NFS 사용하기

    Pod에서 NFS를 volume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식 문서의 예제1를 참고하는 경우가 많을 것인데, 보완 설명을 하려고 한다. AWS EFS를 NFS 서버로 사용할 때 편리하게 쓸 수 있는 efs-provisioner 도 간략하게 소개한다.

    Read More
  • 코드로 인프라 관리하기 (IaC)

    Oct 5, 2020 · IaC DevOps AWS  ·
    Share on:
    코드로 인프라 관리하기 (IaC)

    링크: 코드로 인프라 관리하기 (ppt)

    Games on AWS 2019에서 발표한 자료다. 당시 청중 설문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Infrastructure as Code, 더 나아가 자동화를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 잘 정착되게 하려면 어떤 것을 신경써야 하는지를 정리했다.

    Read More
  • L4 DSR 에서 arp_ignore, arp_announce 설정의 정확한 이해

    Oct 4, 2020 · linux tcp/ip  ·
    Share on:
    L4 DSR 에서 arp_ignore, arp_announce 설정의 정확한 이해

    on-premise 환경에서 L4 로드 밸런서를 DSR(Direct Server Return) 모드로 구성할 때, 리눅스 서버의 kernel parameter 중 arp_ignore, arp_announce를 적절히 설정해야 한다. 이 parameter들의 용도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그 정확한 의미를 정리했다. ARP의 동작 방식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Read More
  • 다시 생각하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운영

    Oct 4, 2020 · Oracle  ·
    Share on:

    DBA는 보수적이라는 인식이 흔히 있다. 새로운 시도를 하다가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기존 방식을 변경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익숙한 것이 후임자에게 이어지는 것이 반복되고 나중엔 이유는 모르지만 어쨌든 기존 방식을 유지하게 된다.

    Read More

Park SeongHoon

DevOps Engineer
Read More

Featured Posts

  • 오해하기 쉬운 EKS 클러스터의 subnet 설정
  • Kubernetes에서 NFS 사용하기
  • 코드로 인프라 관리하기 (IaC)
  • L4 DSR 에서 arp_ignore, arp_announce 설정의 정확한 이해

Recent Posts

  • [kubernetes-event-exporter] 오래된 쿠버네티스 이벤트 조회
  • AWS CLI가 포함된 Lambda layer 만들기
  • [Kubernetes] Cluster Autocaler의 scale-down 튜닝
  • 로컬에서 개발 중인 Ansible role 테스트하기
  • 오해하기 쉬운 EKS 클러스터의 subnet 설정
  • Kubernetes에서 NFS 사용하기
  • 코드로 인프라 관리하기 (IaC)
  • L4 DSR 에서 arp_ignore, arp_announce 설정의 정확한 이해

Tags

AWS 5 DEVOPS 4 KUBERNETES 4 IAC 3 EKS 2 INDEX 1 LINUX 1
All Tags
AWS5 DEVOPS4 EKS2 IAC3 INDEX1 KUBERNETES4 LINUX1 ORACLE1 TCP/IP1
[A~Z][0~9]
박성훈의 블로그

Copyright  박성훈의 블로그. All Rights Reserved